병원비 계산 시 환자 부담분만 보고 결재하기 때문에 급여와 비급여를 구분하기 어렵습니다. 하지만 보험금 청구 시에는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습니다. 이에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알기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.
1. 급여와 비급여
- 급여: 회사나 지역으로 가입된 의료보험에 따라 의료보험공단이 부담하는 금액입니다.
- 비급여: 의료보험공단에서 부담하지 않고 환자가 전액 부담하는 금액입니다.
2. 실손보험 보상 범위
실손보험에 가입하면 다음과 같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급여: 90% 보상
- 비급여: 80% 보상
3. 본인 부담금
본인 부담금이 10,000원을 초과하는 경우 실손보험에서 보상이 가능합니다.
4. 급여와 비급여 항목 구분하기
4.1. 영수증 확인
병원비 영수증에는 급여와 비급여 항목이 각각 표시됩니다.
- 급여 항목: 진료비, 약제비, 검사비 등
- 비급여 항목: 특수진료, 특수약제, 건강기능식품 등
4.2.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사이트 활용
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사이트에서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방법: 진료 및 약제 정보 검색
5. 실손보험 보험금 청구 시 준비물
- 병원비 영수증
- 진단서
- 기타 증빙 서류
6. 추가 정보
실손보험 상품에 따라 보상 범위와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보험증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급여와 비급여 항목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사이트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7. 결론
실손보험 보험금 청구 시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위 정보를 참고하여 급여와 비급여 항목을 쉽게 구분하고 보험금 청구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
'경제 경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례를 통한 한국과 미국의 관리회계 차이점 (0) | 2024.02.14 |
---|---|
회계에서의 손상 impairment (0) | 2024.02.13 |
USCPA 미국공인회계사 시험정보 소개 (0) | 2024.02.05 |
해외여행 체크카드 장점 단점 비교 (0) | 2024.01.31 |
실손보험 보험금 청구 급여 비급여 제대로 알기 (0) | 2024.01.25 |